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바이오벤팅 공정원리, 영향인자, 결합공정 바이오벤팅(Bioventing) 공정원리 바이오벤팅 기술은 기체상으로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추출하는 동시에 토착 미생물에 산소 및 영양분을 공급하고, 토양 내 증기흐름속도를 공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미생물의 지중 생분해능을 극대화하는데 중점을 둔 기술입니다. 석유화합물류의 유기화학물질에 의해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으며, 처리효율, 경제성, 현장 적용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바이오벤팅 공정은 기존의 토양증기추출법 기술원리를 바탕으로 토양 내에 산소를 공급해 줌으로써 오염원에 대한 천연적인 현장 생분해 능력을 증진시키는 불포화 오염토양 정화기술입니다. 주입정을 통해 직접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가 오염물질이 있는 구역에 주입되며, 증기가 토양에 천천히 유입되어.. 2023. 10. 1.
오염토양 지중차단벽 기술, 종류, 얇은막벽 차수공법 오염토양 지중차단벽 기술 지중차단벽은 매립지나 슬러리월, 그라우트, 투과성 반응벽 및 복토층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지중차단벽 시스템의 기능은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특히 침출수 등과 같은 수분의 침투를 최소화합니다. 또한 오염물질을 환경으로 재용출될 가능성이 적은 물리적인 형태로 전환시켜 주며, 수리학적 흐름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오염물질의 지제, 처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용해된 오염물질 또는 반응물의 현재의 흐름에 수직으로 차단층을 형성해 줍니다. 차단 시스템의 성능평가하는 과정에서는 차단벽에서 사용되는 물질의 특성, 차단벽의 범위, 차단벽의 배치에 따라 평가됩니다. 지중차단벽의 처리대상 오염물질은 일부 방사능 물질을 포함한 금속류,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되어 있는 물질로 볼 수 있습니.. 2023. 9. 28.
토양세척법 공정원리 및 설비, 장단점 토양세척법 공정원리 토양세척법은 적절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토양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유해한 유기오염물질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거나 중금속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토양입자로부터 유해한 유기오염물질 및 중금속을 분리시켜 처리하는 기법입니다. 토양세척기법에 사용되는 세척제는 오염물질을 토양으로부터 분리 및 용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계면의 자유에너지를 낮추고 계면의 성질을 현격히 변화시켜 물에 대해 용해성이 적은 물질을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로 용해시킬 수 있는 중요한 화학물질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폐액은 농축, 처분하거나 재래식 폐수처리방법으로 처리하며, 폐액 내의 중금속을 회수할 수도 있습니다. 토양세척법은 광범위한 유기 및 무기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토양세척법은 오염물질이 입자가 작은 토양.. 2023. 9. 26.
화학적 산화법의 처리개요, 제약조건, 펜톤산화반응 화학적 산화법의 처리개요 화학적 산화법은 산화와 환원을 이용한 처리방법입니다. 산화환원반응은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더욱 안정하고, 유동성이 없으며, 비활성물질로 변화시키는 반응입니다. 산화환원반응은 한 물질로부터 다른 물질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반응으로 하나의 물질이 산화되면 다른 물질은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화학적 산화법은 타기술에 비하여 유류오염물질을 빠른 시간내에 분해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현재 다양한 산화제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습니다. 화학적 산화법은 산화제와 접촉한 유류오염물질이 지중에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고 결과적으로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화학적 산화법은 수십년 동안 폐수처리 공정에 효과적으로 사용.. 2023.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