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11

토양수분장력과 토양수분의 물리, 식물학적 분류방법 토양수분장력 토양입자와 물분자 간에는 장력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장력은 흡착력과 응집력으로 구성됩니다. 흡착력은 토양입자와 고체 및 액체 계면의 물분자 간에 작용하며, 응집력은 고체와 액체 계면의 물분자와 계면에서 더 떨어진 물분자들 간에 작용합니다. 이 두 힘의 합력인 토양수분장력으로 보유되는 수분은 모세관적인 토양 소공극을 채우고 대공극에서는 토양입자의 주위에 비교적 두꺼운 수막을 형성합니다. 물의 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토양수분장력이 약해지므로 막의 외부에 있는 수분은 중력의 작용 또는 다른 힘에 의하여 입자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기가 쉽습니다. 일반적으로 장력의 차이에 따라 토양수분의 종류를 분류합니다. 토양이 수분을 보유하는 힘인 토양수분장력 즉 토양입자와 토양입자를 둘러싼 수막의 최외층 물분자 간의.. 2023. 10. 26.
양수처리기술과 토양세정법의 원리 양수처리기술의 개요 양수처리기술은 지하수를 지표로 양수하여 오염물을 처리하고 지하로 재주입하거나 지표수나 하수처리장으로 방출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주요 기능은 포획과 복원으로 나뉩니다. 포획은 오염범위가 확산되지 않도록 양수율을 조절하여 오염물의 주변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며, 복원은 주변의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오염지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며 이때 양수율은 포획 기능 시보다 커집니다. 양수처리기술의 장점은 토양에 자유상으로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며, 장비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단점으로는 잔류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정화에 소요되는 기간이 긴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추출정의 생물막힘현상으로 추출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양수된 많은 양의 오염수 처리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 2023. 10. 4.
고형화/안정화기술 원리, 영향인자, 처리효율 고형화/안정화 기술 원리 고형화 및 안정화기술은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독성물질과 오염물질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중금속 등 무기물질을 고정시키는 기술입니다. 시멘트화에 의한 고형화 및 안정화 처리기술은 고형물질을 형성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포틀랜드 시멘트, 석회 및 규화제 등을 사용하고, 이 중 포틀랜드 시멘트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고형화란 액상이나 슬러지와 같은 폐기물에 접합제를 첨가하여 고상의 형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안정화란 물질을 불용해성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형화 및 안정화 처리기술은 과거에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이용되는 접합제는 무기접합제와 유기접합제로 나뉠 수 있습니다. 무기접합제는 시멘트, 석회, 비산먼지, 소각재, 규산, 점토, .. 2023. 10. 3.
동전기정화공법 개요, 영향인자, 장단점 동전기정화공법 개요 동전기정화공법은 토양, 저질토, 슬러지, 지하수 등에서 전기적 힘에 의해 중금속, 방사선원소, 유기물 등을 분리 또는 추출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입니다. 투수계수가 낮은 포화토양에서 이온상태의 오염물을 양극과 음극의 전기장에 의해 이동속도를 촉진시켜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오염토양 처리기술 중 미세토양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투수계수가 낮은 토양의 경우, 통기성 및 유체의 이동성이 낮아 토양오염 처리기술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지만, 동전기법은 높은 처율을 나타냅니다. 동전기법은 점토질 지반 간극수의 중금속 이온이나 용존하고 있는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으며, BTEX, TPH, 페놀 등의 오염물질 정화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공정원리는 전기이동, .. 2023. 10. 2.